갓 직장에 들어가 돈을 벌기 시작한 사회초년생이신 분들은 꼭 알아야 할 내용이 있습니다. 바로 ‘부자 지수’인데요.
이 개념은 미국의 경제학자인 토머스 스탠리가 제시한 개념으로 내가 장차 부자가 될 수 있는지에 대한 확률을 수치로 표현한 개념입니다.
“나는 그래도 소득이 많으니 당연히 부자지수가 높게 나올 거야”라고 생각하면 큰 오산인 게 단순히 소득이 많다고 중요한 게 아니라, 소득 대비 자산을 얼마나 잘 관리했는지가 중요하답니다.
갓 사회에서 일을 시작한 사회초년생의 경우에는 소득이 적기 때문에 당연히 부자 지수가 낮을거라고 생각하지만, 각 소득과 순자사액, 나이에 따라 지수가 달라집니다.
그렇기 때문에 젊으면 젊을수록 하루 빨리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많이 하며 순자산을 늘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자지수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에 핵심내용만 간단하고 쉽게 정리해 두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목차여기]
부자지수란?
부자지수(Wealth Index)는 서두에서 간단히 언급한 것과 같이 자산 축적 수준을 지표로 평가하며, 소득대비 재정이 건전한지 파악하는 데 활용됩니다.
이 개념은 미국의 경제학자인 토머스 스탠리(Thomas J. Stanley)가 그의 저서 「이웃집 백만장자」에서 제시한 개념으로 부자지수는 단순히 소득이 많다고 해서 높은 것이 아니라, 소득 대비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았는지 평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소득만으로 부자지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기에 ‘소득이 많은 고소득이지만 자산이 적은 사람’과 ‘보다 적은 소득이지만 자산을 꾸준히 늘려가는 사람’에 대해 추후 부자가 될 사람을 구별할 수 있습니다.
부자지수 계산 방법
부자지수 공식:
부자지수 = (순자산 × 10) ÷ (나이 × 연간수입)
이때, 100%를 기준으로 100%보다 적으면 현재 소비가 많고 순자산이 적은 것으로 재테크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면 되고, 100% 이상이면 평균 수준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기준으로 정리해 드리자면
- 50% 이하 : 소비를 줄이고, 소득을 늘려야 하며, 자산을 모아야 합니다.
- 100% 이하 : 평균적인 수치로, 더욱더 노력할 필요가 있습니다.
- 200% 이하 : 재테크를 잘하는 편으로 부자가 될 확률이 높습니다.
- 200% 이상 : 재테크 고수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30세, 연수입 4,000만 원, 순자산 1억 7000만 원 상당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부자 지수는 141%로 재테크를 잘하는 편에 속합니다.
반대로
40세, 연수입 1억 원, 순자산 2억 상당을 가지고 있는 고액 연봉자의 경우 부자 지수는 50%밖에 안됩니다.
2배에 가까운 수입과 더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어도 부자 지수는 50%밖에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이 지수의 핵심은 바로 지출과 부채를 줄이고 연수입을 늘려 순자산을 늘리는 것으로, 비교적 어린 나이에 자산형성을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부자지수를 만든 스탠리가 말하는 부자들의 특징은?
그렇다면, 토머스 스탠리는 부자들의 특성에 대해 어떻게 정의했을까요?
- 사치품보다는 자산을 증식하는 데 집중
- 소득보다 소비를 절제하는 습관
- 장기적인 투자와 저축을 통한 재산 축적
- 화려한 생활보다는 실속 있는 경제 활동
그는 ‘고소득이 곧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사실을 강조하며, 소득을 어떻게 관리하느냐가 부자가 되는 핵심 요소라고 주장했습니다.
결론
위에 설명했던 것처럼 단순히 연봉이나 자산 총액이 아니라, 자신이 벌어들이는 소득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는가가 중요합니다.
사회초년생의 경우는 그동안 억눌려 왔던 소비욕구가 소득이 생김과 동시에 터지기 때문에 이 소비욕구를 잘 막지 못한다면 자산형성을 하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가장 기초적인 저축을 하는 습관을 위해 통장 쪼개기를 하는 등 소비보단 저축을 하는 습관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2025.01.13 -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 사회초년생 종잣돈 쉽게 모으는 방법(통장 쪼개기)
사회초년생 종잣돈 쉽게 모으는 방법(통장 쪼개기)
취업을 하면 제일 중요한 것 중 한 가지가 바로 '종잣돈 모으기'입니다.우리가 열심히 피땀 흘려 일해 번 소중한 돈이 통장을 스쳐서 사라지면 안 되겠죠?이렇듯 돈 모으는 습관은 사회초년생 시
misterhistory22.tistory.com
통장 쪼개기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의 경우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이외에도 목돈을 만들기 전 꾸준한 재테크 공부를 하며, 기회가 왔을 때를 대비해 목돈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자지수를 통해 자신의 재무 상태를 점검하고 장기적으로 수입과 지출을 관리해야 하는 것입니다.
2025.01.29 -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벌써 올해의 첫 달이 지나가네요.곧 봄이 되면 이사로 인해 많은 분들이 분주해지실 예정일 텐데요. 사회초년생 입장에서 집계약을 하다보면 복잡한 용어들이 우리를 무척이나 괴롭힙니다.그
misterhistory22.tistory.com
2025.01.14 -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 신용카드 가족카드로 발급 받아서 모두 혜택받기
신용카드 가족카드로 발급 받아서 모두 혜택받기
직장인들이라면 당연히 한 개쯤은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겠죠?연회비도 내야하고 카드 혜택을 받으려면 실적을 채워야 하기에 여간 불편한 게 아닙니다. 그렇기에 가뜩이나 적은 월급에 실적
misterhistory22.tistory.com
2025.01.26 -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 가게부 쓰기 힘들면 뱅크샐러드 쓰자!
가게부 쓰기 힘들면 뱅크샐러드 쓰자!
새해가 시작하면 항상 다짐하는 것이 있죠?작년엔 돈을 못모았으니 올해는 꼭 모을 거야 하면서 다짐을 하는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나의 수입과 지출을 우선 파악할 수 있어야 지출을 줄이고
misterhistory22.tistory.com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의 차이점을 아시나요? (0) | 2025.01.29 |
---|---|
가게부 쓰기 힘들면 뱅크샐러드 쓰자! (0) | 2025.01.26 |
비타민을 많이 먹으면 몸에 해가 된다고? (0) | 2025.01.25 |
GTX 속도 및 요금, 할인정보 쉽게 알아보자! (0) | 2025.01.23 |
과메기 비린맛 없이 먹는방법(Feat. 참기름) (0) | 2025.01.19 |